미중 무역전쟁 심화, 한국 기업 공급망 위기 확산

미중 무역전쟁 심화, 한국 기업 공급망 위기 확산

공급망 악화 전망 53.4%, 대응책 없는 기업 절반 넘어

미중 무역전쟁이 심화되면서 한국 기업들의 공급망 조달 여건이 지난해보다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국무역협회가 실시한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이 공급망 조달 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중견·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더 큰 우려를 표명했으며, 가구 및 인테리어 업종이 가장 심각한 위기감을 드러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이 직면한 공급망 위기의 실상과 그 대응 방안을 살펴보자.

공급망 악화 전망, 기업 규모별 온도차 뚜렷

한국무역협회가 50만 달러 이상 수출 실적을 보유한 제조기업 74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기업들의 불안감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조사 기간은 2025년 2월 24일부터 3월 10일까지였으며, 기업 규모별로 인식 차이가 존재했다.

  • 전체 응답 기업 중 53.4%가 ‘공급망 조달 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함
  • 41.4%는 ‘유사할 것’이라고 답변했으며,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5.5%에 불과함
  • 중견기업(55.1%)과 중소기업(53.5%)이 대기업(36.8%)보다 공급망 악화를 더 심각하게 우려함
  •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공급망 충격에 더 취약한 경향 보임

업종별 위기감, 소비재 및 첨단 산업 집중

공급망 위기 인식은 업종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가구 및 인테리어 업종이 가장 높은 우려를 표명했으며, 첨단 산업인 이차전지와 자동차 부문도 높은 위기감을 나타냈다.

  • 가구 및 인테리어 업계 76.9%가 공급망 악화 전망, 가장 높은 수치 기록함
  • 섬유 및 의류 업종 65.4%로 두 번째로 높은 우려 보임
  • 이차전지(63.9%),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60.7%) 등 첨단 산업도 공급망 불안 심각함
  • 가전 및 스마트 디바이스(59.4%), 화학 및 석유화학(56.4%) 등 주요 산업도 평균 이상의 우려 표명함
  • 소비재와 첨단 기술 산업이 공통적으로 높은 우려 수준 보임

미중 무역 제재, 불균형한 위협 인식

기업들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제재에 대해 상이한 위협 인식을 드러냈다. 미국의 무역 제재를 더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 미국의 무역 제재에 대해 79.6%가 ‘심각하다’고 응답함(매우 심각 30.9%, 조금 심각 48.8%)
  • 중국의 원자재 수출 통제는 42.4%만이 ‘심각하다’고 평가함(매우 심각 11.8%, 조금 심각 30.7%)
  • 미국 제재의 영향력을 중국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심각하게 인식함
  •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미국의 제재가 더 큰 영향력 행사한다는 점 반영됨

기업 대응 부족과 정부 지원 미흡

가장 우려되는 점은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절반 이상의 기업이 공급망 위기에 대한 구체적 대응 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정부 지원에 대한 평가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공급망 위기에 대한 대응 계획이 없는 기업이 51.8%에 달함
  • 정부의 공급망 지원 정책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17%에 불과함
  • 응답 기업 중 48.6%가 정부 지원이 부족하다고 평가함
  • 체계적인 대응 전략 부재와 정부 지원 미흡이 공급망 위기를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 높음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과제

미중 무역전쟁 심화로 인한 공급망 위기는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도전 과제로 부상했다. 설문조사 결과는 공급망 불안정성이 중소·중견기업과 특정 산업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들은 공급망 다변화와 리스크 관리 강화가 시급하며, 정부 차원의 체계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미중 간 무역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은 어떻게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까?

특히 대응 계획조차 없는 기업들이 절반을 넘는 현실은 우리 산업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가 아닐까?

키워드

미중 무역전쟁, 공급망 위기, 한국무역협회, 제조기업, 무역 제재

해시태그

#미중무역전쟁 #공급망위기 #한국제조업 #무역제재 #공급망다변화

Similar Posts